2025 서울시 신혼부부 100만원 지원금 신청 방법 총정리

2025 서울시 신혼부부 100만원 지원금 신청 방법 | 조건·서류·일정 총정리

2025 서울시 신혼부부 100만원 지원금 신청 방법 총정리

핵심 요약 2025년 7월 14일 이후 혼인신고한 부부 중 1인 이상 서울 거주 & 기준중위소득 120% 이하이면 결혼·살림 비용으로 최대 100만원을 생애 1회 지원합니다. 신청기간: 10/13(월) 09:00 ~ 10/24(금) 23:59 (12일간). 예산 초과 시 소득 낮은 순 → 신청 빠른 순 → 혼인신고일 빠른 순으로 선정됩니다.



🔻2025년도 서울시 혼인신고자 대상🔻
신혼부부 지원금 신청하기



1) 지원사업 한눈에 보기

서울시에 거주하는 신혼부부의 초기 정착 부담을 낮추기 위해 결혼 준비·혼인살림 장만 비용을 실질적으로 돕는 제도입니다. 최대 100만원까지, 생애 1회 지급되며, 지원규모는 총 1,000가구입니다. 결혼식장 대관료나 신혼여행 경비, 냉장고·세탁기 등 필수 가전, 침대·식탁·커튼 등 생활·가구 구입 비용의 폭넓은 항목이 인정됩니다.

장점
  • 결혼 준비부터 생활 정착까지 광범위한 지출 인정
  • 행정정보 공동이용으로 일부 서류 제출 생략
  • 12월 중 지급으로 연내 지출 보전 가능
유의
  • 신청기간이 단 12일로 짧음
  • 예산 초과 시 경쟁 (소득·신청속도·혼인신고일 순)
  • 영수증 유효기간 반드시 확인(신청일 기준 1년 이내~신청일 발급분)

2) 지원 대상·소득·국적 요건

couple

거주 요건

  • 2025.07.14. 이후 혼인(초·재혼) 신고한 부부
  • 부부 중 1인 이상 서울 거주 & 신청일 포함 180일 이상 ~ 지급결정일까지 계속 거주
  • 생애 1회 지원(부부 중 1인이라도 기수혜자는 불가)

소득 기준(기준중위소득 120% 이하)

가구원 수 월소득 기준(원) 가구 범위
2인 4,719,190 혼인신고한 배우자 2인 기준
3인 6,030,424 배우자 + 미성년 자녀 1인 포함
4인 7,317,328 배우자 + 미성년 자녀 2인 포함

※ 소득 합산: 배우자 + 미성년 자녀(2007.01.01. 이후 출생). 주민등록상 동일세대 여부와 무관하게 가구원에 포함. 태아는 미인정.
※ 소득금액은 소득금액증명원(2024년 귀속)으로 확인.

국적 요건

  • 부부 중 1인 이상 대한민국 국민
  • 결혼한 이민자(국민의 배우자)로 외국인등록번호가 있는 자 또는 주민등록에 기재된 외국인

지원 제외

  • 사실혼 부부
  • 부부 모두 외국인
  • 본 사업 기수혜자(부부 중 1인이라도 수혜 이력 있으면 불가)
  • 서울시 공공예식장 ‘더 아름다운 결혼식’ 결혼장려금(비품비) 수혜자

3) 지원 가능 항목 & 미지원 항목

living-room

결혼 준비(예시)

  • 예식장 관련 비용
  • 신혼여행(항공·숙박·패키지 등)
  • 청첩장 제작·인쇄

혼인살림(예시)

  • 가전: 냉장고, 세탁기, 건조기, 에어컨, 공기청정기, TV, 청소기, 전자레인지, 전기밥솥, 인덕션·가스레인지, 정수기 등
  • 주방·생활: 냄비·프라이팬·칼·도마, 식기·컵·그릇, 믹서기, 커피머신, 토스터기, 다리미, 빨래건조대, 침구(이불·베개·커버), 커튼·블라인드 등
  • 가구: 침대(매트리스), 옷장, 서랍장, 소파, 식탁·의자, 책상·책장, 신발장, 수납장 등

미지원 항목

  • 스튜디오·드레스·메이크업(S·D·M) 비용
  • 서울시 공공예식장 ‘더 아름다운 결혼식’ 결혼장려금(비품비)

꿀팁: 최종 인정 여부는 구매내역서의 품목 표기영수증을 기준으로 판단됩니다. 항목명이 모호하면 업태·품목·모델명·카테고리를 명확히 기재한 거래명세서/구매내역서를 함께 제출하세요.

4) 신청기간·심사·지급 일정

  • 신청기간: 2025.10.13.(월) 09:00 ~ 2025.10.24.(금) 23:59 (12일간)
  • 자격검증 & 1차 승인: 신청일 ~ 2025.11.07.(금)
    보완요청 미이행 시(마감: 11.06.) 1차 승인에서 제외
  • 거주확인 & 지급결정: 2025.11.17.(월) ~ 11.18.(화)
  • 지급시기: 2025년 12월 중 (자치구에서 개별 통보 후 지급)

중요: 신청 시작 직후와 마감 직전은 트래픽이 폭증합니다. 서류 보완 시간까지 고려해 초반에 접수하세요.

5) 신청 방법(절차) & 준비서류

온라인 신청 경로

  1. 몽땅정보 만능키 누리집 접속: umppa.seoul.go.kr
  2. 로그인 후 신혼부부 100만원 지원금 메뉴 선택
  3. 신청서 작성 → 대상자·소득·거주 요건 동의 및 확인
  4. 증빙서류 업로드 → 제출 → 접수 완료



🔻2025년도 서울시 혼인신고자 대상🔻
신혼부부 지원금 신청하기



제출서류(핵심)

  • 혼인관계증명서 (※ 접수증 미인정)
  • 배우자의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동의서 (위임장 포함)
  • 구매 영수증 + 지원항목 표기된 구매내역서/거래명세서
    유효기간: 신청일 이전 1년 이내 ~ 신청일 발급분까지 인정
  • 가족관계증명서 (미성년 자녀가 있을 경우)
  • 외국인 배우자가 있는 경우: 신청자가 속한 세대의 주민등록표 등본 (인터넷 발급 불가, 오프라인 발급)

행정정보 공동이용으로 생략 가능한 서류

  • 주민등록표 등·초본
  • 소득금액증명원(2024년 귀속)

※ 단, 공동이용으로 확인되지 않는 경우 제출을 추가 요청할 수 있습니다. 보완요청 마감(11.06.) 이전에 반드시 업로드하세요.

6) 선정 기준 & 당첨 확률 높이는 팁

본 사업은 1,000가구 예산 범위 내에서 지원됩니다. 예산을 초과할 경우 아래 순서로 선정됩니다.

  1. 소득수준이 낮은 가구 우선
  2. 신청일이 빠른 가구
  3. 혼인신고일이 빠른 가구

실전 팁

  • 신청 초기에 접수: 트래픽 분산 + 보완시간 확보
  • 영수증·내역서 일치 여부 재확인: 품목·모델명·카테고리 명확화
  • 소득금액증명원(2024년 귀속) 수치와 신청서 기재내용 불일치 방지
  • 거주기간 산정 시 연속성 확인(신청일 포함 180일 이상 ~ 지급결정일까지)

7) 자주 묻는 사례별 체크리스트

① 초혼 vs 재혼

둘 다 가능하나 혼인신고일이 2025.07.14. 이후여야 하며, 부부 중 1인이라도 기수혜 이력이 있으면 신청 불가합니다.

② 자녀 유무

미성년 자녀는 가구원 합산 소득 산정에 포함합니다(주민등록상 세대 분리와 무관). 태아는 미인정입니다.

③ 외국인 배우자

부부 중 1인은 대한민국 국민이어야 합니다. 외국인 배우자는 외국인등록번호 보유 또는 주민등록 기재가 필요하며, 해당 시 등본을 오프라인으로 발급해 제출합니다.

④ 지출 시점

영수증은 신청일 기준 1년 이내 구입분부터 인정됩니다. 단, 신청일 발급분까지 유효합니다.

⑤ 항목 판정

스드메(S·D·M)는 불인정. 예식장·여행·청첩장, 가전·가구·생활·주방은 인정. 경계 품목은 구매내역서에 카테고리·모델명 표시로 명확히 해두면 분쟁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8) 신청 실수 방지 체크포인트

  • 마감 직전 접수 → 서버 혼잡 & 보완시간 부족 → 1차 승인 제외 위험
  • 배우자 사전동의서(위임장) 누락 → 보완요청 대상
  • 영수증-구매내역서 품목 불일치 → 불인정 가능
  • 거주일수 산정 오류(신청일 포함 180일) → 자격 미충족
  • 이미 ‘더 아름다운 결혼식’ 장려금(비품비) 수혜 → 본 사업 지원 불가

9) 자주 묻는 질문(FAQ)

Q1. 지원금은 어떻게, 언제 받나요?

자치구에서 2025년 12월 중 개별 통보 후 지급됩니다. 문자·전화 등으로 안내받게 됩니다.

Q2. 공동명의로 가전 구매했는데 인정되나요?

영수증과 구매내역서 상 구매자·품목·금액이 명확하고, 지원항목에 해당하면 인정됩니다. 서류 간 불일치가 없도록 확인하세요.

Q3. 혼인신고 후 아직 전입신고를 못 했습니다.

신청일 포함 180일 이상 ~ 지급결정일까지 서울 거주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 거주이력 단절 없이 연속성을 증빙할 수 있어야 합니다.

Q4. 인터넷으로 발급 불가 서류가 있나요?

외국인 관련 등 일부는 주민등록표 등본 오프라인 발급이 필요합니다. 사전에 준비해 두면 보완요청을 피할 수 있습니다.

Q5. 스드메 패키지를 낱개로 결제해도 인정되나요?

스튜디오·드레스·메이크업은 방식과 관계없이 미지원입니다. 혼동하지 마세요.



🔻2025년도 서울시 혼인신고자 대상🔻
신혼부부 지원금 신청하기



문의: 다산콜센터 02-120

본 글은 2025년 사업 공고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세부 요건·서류는 심사 과정에서 변동·추가 요청될 수 있으며, 최신 안내는 umppa.seoul.go.kr 및 거주지 자치구 공지에서 반드시 확인하세요.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