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년전용 버팀목 vs 신혼부부 전세대출 비교 총정리

청년전용 버팀목 vs 신혼부부 전세대출, 나에게 딱 맞는 건?

금리·한도·자격·신청시기 한 번에 비교하고, 내 상황에 가장 유리한 선택법까지 정리했습니다.


주택 전세자금 계산기


왜 지금 비교해야 할까?

전세보증금을 마련할 때 정부 기금 전세대출을 활용하면 초기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. 다만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신혼부부전용 전세대출은 대상·한도·금리가 다르고, 면적·보증금 기준, 나이·혼인 요건, 우대금리도 차이가 납니다. 즉, 같은 집이라도 누가 신청하느냐에 따라 금리와 한도에서 수백만~수천만 원의 차이가 날 수 있죠.

핵심 포인트
· 청년: 만 19~34세(특정 요건 시 병역복무기간만큼 연장, 최대 만 39세), 소득 5천만 원 이하 중심, 한도 보통 1.5억(’25.6.27 이전 계약 2억)
· 신혼부부: 혼인 7년 이내 또는 3개월 내 결혼 예정, 소득 7,500만 원 이하, 수도권 최대 2.5억 등 한도 여유
· 두 상품 모두 순자산 3.37억 이하, 임차보증금/면적 제한, 중복대출 금지, 신용·자산 심사 필수

한 눈에 보는 핵심 비교표

구분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 신혼부부전용 전세대출
대상 만 19~34세 무주택 세대주(예비세대주 포함)
※ 중소·중견기업 취업/창업 등 요건 시 병역복무기간만큼 최대 만 39세까지 연장 가능
혼인 7년 이내 또는 3개월 내 결혼 예정 무주택 세대주
소득 요건 부부합산 총소득 ≤ 5,000만 원
※ 일부 특례(다자녀 등) 6,000만 원 / 신혼 7,500만 원
부부합산 총소득 ≤ 7,500만 원
자산 요건 부부 합산 순자산 3.37억 원 이하(2025년 기준)
금리(변동) 약 2.2% ~ 3.3% (소득 구간별)
지방 0.2%p 인하, 다자녀/한부모 등 우대 다수
약 1.9% ~ 3.3% (소득·보증금 구간별)
지방 0.2%p 인하, 자녀 수 우대 등
대출 한도 최대 1.5억(보증금 80% 이내)
※ ’25.6.27 이전 계약: 최대 2억
수도권 최대 2.5억 / 비수도권 1.6억(보증금 80% 이내)
※ ’25.6.27 이전 계약: 수도권 3억, 비수도권 2억
대상 주택 전용 85㎡ 이하(만 25세 미만 단독세대주 60㎡ 이하)
보증금 3억 이하, 주거용 오피스텔 포함
전용 85㎡ 이하(읍·면은 100㎡)
보증금 수도권 4억 / 비수도권 3억, 주거용 오피스텔 포함
기간/상환 2년 단위(최장 10년, 조건 시 최대 20년) · 일시상환 또는 혼합상환
중복대출 주택도시기금·타 전세대출·주담대 중복 불가(일부 임차중도금 예외)
신청 시기 잔금·전입일 중 빠른 날부터 3개월 이내(갱신도 3개월 이내)
보증·담보 HUG/HF 보증 또는 반환채권양도(협약기관 한정)

상품별 핵심 요약

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 한 줄 요약

  • 장점: 낮은 금리 구간(2%대) 진입 가능, 우대금리 옵션 다수, 청년 단독세대주도 신청 가능
  • 주의: 보증금·면적·한도 제약이 상대적으로 큼(일반적 최대 1.5억), 만 25세 미만 면적 제한(60㎡)

신혼부부전용 전세대출 한 줄 요약

  • 장점: 한도 여유(수도권 2.5억), 혼인·출산 가구 우대폭 넓음
  • 주의: 혼인기간·예비혼 요건 필수, 일부 구간 금리 가파르게 상승 가능(보증금/소득 구간에 따라)

금리, 누가 더 유리할까?

a-lease-on-a-deposit-basis

두 상품 모두 변동금리이며, 소득구간·보증금 구간에 따라 금리가 달라집니다. 청년전용은 소득 기준 중심(2.2%~3.3%), 신혼부부는 소득+보증금 구간(1.9%~3.3%)으로 차등됩니다. 지방 소재 주택일 경우 두 상품 모두 0.2%p 인하, 자녀 수가 많을수록 우대금리가 커집니다.

  • 소득이 낮고 보증금 규모가 크지 않다면 → 청년전용 금리 메리트
  • 맞벌이·보증금이 큰 수도권 전세라면 → 신혼부부 한도/금리 조합이 유리
  • 자녀가 있다면 → 두 상품 모두 자녀 수 우대금리 체크(최대 적용기간 유의)

대출 한도 & 대상 주택, 이렇게 다릅니다

청년전용은 보증금 3억, 전용면적 85㎡(만 25세 미만 60㎡) 제한이 있고 한도는 보통 1.5억입니다. 신혼부부는 보증금 수도권 4억/비수도권 3억까지 가능하고, 한도도 수도권 2.5억으로 더 여유롭습니다. 규모 큰 집, 보증금이 높은 수도권 전세라면 신혼부부 전용이 주거 선택지를 넓혀줄 수 있습니다.

신청 타이밍 & 방법 요약

  • 신청 시기: 잔금일/전입일 중 빠른 날로부터 3개월 내(갱신도 동일)
  • 신청 경로: 기금e든든 비대면 신청 → 지정 수탁은행 방문(또는 은행 대면 동시신청)
  • 보증: HUG 전세금안심대출보증, HF 전세자금보증 중 택일(요건·한도 상이)
  • 필수 체크: 중복대출 금지(기금/타 전세대출/주담대) — 예외적 임차중도금 케이스만 허용

케이스별 추천 시나리오

① 사회초년생·단독세대주

소득 3천만 원대, 보증금 2억 미만, 지방 거주 → 청년전용 금리 메리트 + 지방 0.2%p 인하로 유리

② 예비신혼 부부(3개월 내 혼인)

수도권 3억대 전세 계획 → 신혼부부 전용으로 한도 여유(최대 2.5억) 확보

③ 맞벌이 신혼·자녀 계획

부부합산 소득 6천만 원대, 넓은 평형 선호 → 신혼부부 전용 + 자녀 우대금리 트랙 고려

④ 중소기업 취업 청년(군필)

만 35~39세 구간 해당 가능성 → 청년전용 연령 연장 요건 검토 후 도전

자주 놓치는 우대금리 & 서류 포인트

  • 지방소재 0.2%p 인하: 주택 소재지 기준, 금리 절감 효과 큼
  • 자녀 우대: 1·2·다자녀별 우대폭·적용기간(자녀 1명당 4년, 최대 12년) 확인
  • 전자계약: 부동산 전자계약 체결 시 추가 인하(한시적, 최초 기한 1회)
  • 성실납부·대출신청액 조건: 월세대출 성실납부, 산정액 대비 30% 이하 신청 등 가산/감산 요건 꼼꼼히
  • 소득·재직 확인: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, 사업자등록증(증명원) 등 현재 기준으로 산정

최종 선택 체크리스트

  1. 나의 상태: 연령(청년/신혼), 혼인 예정 여부, 자녀 유무
  2. 예산·집 규모: 보증금/면적/지역(수도권 vs 지방)
  3. 소득·자산: 부부합산 소득·순자산(3.37억 이하) 충족 확인
  4. 금리·우대: 적용 가능한 모든 우대금리(지방·자녀·전자계약 등) 체크
  5. 타이밍: 잔금/전입일 기준 3개월 내 신청(갱신 포함)
  6. 중복대출: 기존 전세대출/주담대 보유 여부 확인(예외 극히 제한)

결론: 청년 vs 신혼, 이렇게 고르면 끝!

보증금이 크지 않고 소득 구간이 낮은 청년 1~2인 가구라면 청년전용 버팀목이 금리 메리트가 큽니다. 반대로 수도권·넓은 평형·보증금이 큰 신혼이라면 신혼부부 전용이 한도에서 확실히 유리합니다. 두 상품 모두 조건을 충족하면 금리 인하 옵션이 다양하니, 우대금리를 최대한 겹쳐서 적용받는 전략이 핵심입니다.


대출 전 꼭봐야할 꿀팁


※ 실제 취급 가능 여부와 최종 금리는 수탁은행·보증기관 심사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다른 대출 더 알아보기

  • ① 임대차 계약서(5% 이상 계약금 납부)·전입 계획 일정 확정
  • 기금e든든 사전 확인 & 수탁은행 상담 예약
  • ③ 내 소득·자산·재직 서류 최신본 준비 → 신청 3개월 기한 안에 접수
  • ④ HUG/HF 중 나에게 유리한 보증 라인 선택


청년주거대출 더 알아보기


다음 이전